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미국이 만든 가난, 저자: 매슈 데즈먼드" 책 리뷰

by 우 주 0531 2025. 3. 24.
반응형

 

 

저자소개

'미국이 만든 가난'의 저자 매슈 데즈먼드는 프린스턴대학교 사회학 교수이자, 미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과 주거 문제에 대한 권위 있는 연구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주로 빈곤층과 저소득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데즈먼드는 특히 2016년 발표한 《Evicted: Poverty and Profit in the American City》(미국에서의 퇴거: 가난과 이익의 문제)라는 저서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이 책은 미국 내 퇴거와 주거 불안정 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루며, 그의 사회학적 관점과 사실 기반의 연구가 결합된 작품입니다.

 

 

 

 

책의 줄거리

'미국이 만든 가난'은 미국 내 빈곤과 주거 불안정 문제를 중심으로 미국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탐구한 책입니다. 데즈먼드는 주거 문제를 단순히 경제적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며, 정부 정책, 기업의 이익, 그리고 빈곤층 사람들의 삶이 어떻게 서로 얽히고 영향을 주는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그는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더 심화된 미국의 주거 불안정 문제를 중심으로, 사람들의 퇴거 경험을 인터뷰와 데이터를 통해 입체적으로 그려냅니다. 책은 8명의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퇴거 경험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을 다루며, 빈곤과 불평등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칩니다.

 

 

 

 

인상적인 장면

책에서 특히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퇴거’라는 주제를 다룬 부분입니다. 데즈먼드는 퇴거가 단순히 집을 잃는 문제가 아니라, 빈곤층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설명합니다. 한 사례에서는 주인공이 퇴거 후 새로운 집을 구하려고 애쓰는 동안, 빈곤의 악순환이 어떻게 그들을 더욱 고립시키고, 정신적, 사회적 고통을 더하는지 묘사합니다. 또한, 퇴거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와 국가적인 문제로 확산되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이 장면은 빈곤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저자의 의도

매슈 데즈먼드는 이 책을 통해 단순히 빈곤층의 고통을 전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빈곤의 구조적 원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정부의 정책, 기업의 이익, 그리고 빈곤층의 삶을 연결하여 서술합니다. 또한, 퇴거와 같은 주거 문제를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문제로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데즈먼드는 미국의 빈곤 문제를 단지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식하도록 독자들을 이끕니다.

 

 

 

 

책에 대한 평가

'미국이 만든 가난'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룬 책으로, 그 연구의 깊이와 사실 기반의 접근 방식이 돋보입니다. 데즈먼드는 빈곤을 단순히 경제적인 수치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의 삶을 중심으로 한 사례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책은 미국의 빈곤 문제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주거 불안정과 빈곤의 문제를 다루는 데 중요한 참고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즈먼드가 제시하는 문제의 구조적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통찰은 많은 독자에게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하지만 일부 독자들에게는 사회학적인 분석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며, 특정 정책에 대한 저자의 비판적인 시각이 논란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

 

  1. 빈곤의 구조적 원인 분석: 단순히 빈곤을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잘 설명합니다.
  2. 현실적이고 감동적인 사례들: 실제 빈곤층 사람들의 삶을 중심으로 한 생생한 사례들이 책을 더욱 감동적으로 만듭니다.
  3.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주거 문제와 퇴거를 중심으로 미국의 불평등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4. 정책적 접근: 빈곤과 주거 불안정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책임을 강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합니다.
  5. 사회적 변화의 필요성: 이 책은 독자에게 사회적 변화를 위한 자극을 주며, 불평등 해소를 위한 방향을 고민하게 만듭니다.

 

반응형